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아이의 행복과 성장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싶은 부모님들을 위한 블로그 글입니다. 오늘은 우리 아이들을 어떻게 하면 좀 더 행복하고 단단하게 키울 수 있을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볼까 합니다.
아이와의 대화, 정말 중요하다고 느끼시죠?
하지만 정서지능을 키우고 자존감을 높이는 대화법은 어디서도 쉽게 배우기 어렵습니다.
오늘 소개할 '이정현 선생님'의 영상에는 그 답이 있습니다. '질문하는 습관' 하나만으로 아이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는 이야기,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
'질문'을 통한 사랑과 자좀감 키우기
이정현 선생님은 자녀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질문’을 강조합니다. 우리가 누군가를 좋아하고 사랑할 때 그 사람에 대해 궁금해지는 것처럼, 아이들에게 질문하는 것은 아이에게 관심을 갖고 있다는 표현입니다.
- 아이들은 사랑하는 대상을 통해 힘을 얻으며, 자신의 호기심과 경외감을 질문으로 표현합니다.
- 질문을 통해 아이들은 자신과 세계에 대해 사색을 하도록 유도되며, 이는 사랑하는 것을 찾기 위한 중요한 방법입니다.
- 소통의 과정에서 아이들은 서로의 경험을 나누며 관계를 깊게 하며, 이로 인해 자존감이 향상됩니다.
- 아이들의 시선과 방향을 정해주는 질문은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고 세상을 넓게 바라보도록 도와줍니다. 예를 들어, "내가 가장 사랑하는 것들은 무엇인가?", "내가 가장 행복한 순간은 어떤 순간인가?", "세상에 가장 아름다운 것들은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들은 아이가 스스로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자신의 감정과 가치를 발견하도록 이끌어 줍니다.
“질문은 사랑의 표현이며, 마음을 여는 열쇠입니다.”
아이에게 “오늘 가장 행복했던 순간은 뭐였어?”라고 묻는 것만으로도, 하루를 긍정적으로 마무리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질문을 통해 ‘나를 바라봐주는 누군가가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고, 이는 자존감을 키우는 기반이 됩니다.
행복하고 자존감 높은 아이로 키우는 방법
1️⃣ 아이들에게 긍정적인 핵심 문장 하나를 반복해서 들려주기
예를 들어, 매일 “너는 엄마(아빠)에게 태어나줘서 고마운 존재야”와 같은 메세지를 통해 아이는 소중한 존재로 인식됩니다.
2️⃣ 내 자신을 먼저 다정하고 따뜻하게 만져주기
덴마크 교육에서는 접촉 놀이를 통해 학생들이 서로에 대한 따뜻한 태도를 배울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접촉은 아이들이 사회적 경계를 인식하고 안정감을 느끼게 합니다. 아이 스스로 자신의 어깨, 팔, 얼굴을 부드럽게 감싸는 연습을 하며 정서적으로 ‘지금 여기’를 느끼게 합니다. 아이들에게 자신의 몸을 부드럽게 만져보게 하는 것은 자기 사랑의 경험이며, 이는 그들이 안정되고 편안함을 느끼는 데 도움을 줍니다.
3️⃣ 아이들을 동지섣달 꽃 보듯이 바라보자
'인간은 응시에 의해 조각된다'는 말처럼, 부모의 존재의 주목 및 긍정적인 시선이 아이에게 큰 영향을 미칩니다. 부모는 내가 어떤 눈빛으로 아이를 바라보는지 항상 생각해야 합니다.
삶의 경이로움을 느낄 수 있도록
이정현 선생님의 인터뷰에서 가장 감동적인 장면은, 백혈병 환아였던 아이와의 이야기였습니다.
“불이 꺼졌다가 다시 켜졌을 때, 가족이 보였어요. 그래서 지금 있는 그대로를 더 많이 보고 싶어요.”
이 말을 통해 아이가 얼마나 삶을 사랑하는지 느낄 수 있었습니다. 아이가 행복하게 “사랑해요, 고마워요”를 말할 수 있는 것은 사랑받는 존재임을 스스로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가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감정코칭 팁
1️⃣ 반복되는 감사 표현 문장
매일 “너는 엄마(아빠)에게 태어나줘서 고마운 존재야”라는 말 한 마디가, 아이의 핵심 정체성을 만듭니다.
2️⃣ 눈 맞춤 & 응시의 중요성
'인간은 응시로 조각된다'는 말처럼, 아이와 눈을 마주치며 대화할 때 정서적 안정이 형성됩니다.
3️⃣ 아이의 존재를 ‘질문’으로 알아주기
- 너는 언제 가장 행복했어?
- 너를 웃게 만드는 것은 뭐야?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은 뭐라고 생각해?
이런 질문들은 아이를 존중받는 존재로 성장하게 합니다.
정서지능을 키우는 일상 루틴 요약
방법 | 효과 | 실천 예시 |
감사 질문 | 긍정적 사고 유도 | "오늘 고마웠던 일은 뭐였어?" |
자기 쓰다듬기 | 신체적 안정 & 존재 인식 | 손을 비벼 눈, 귀, 어깨 쓰다듬기 |
시선과 응시 | 정서적 연결 | 핸드폰을 내려놓고 눈을 마주치기 |
일관된 문장 반복 | 존재의 확신 | "너는 태어나줘서 고마운 존재야" |
Q&A
Q1. 질문이 아이 정서에 왜 중요한가요?
A1. 질문은 아이가 ‘존재를 인정받는다’는 감정을 느끼게 하며, 정서지능을 높이는 핵심 도구입니다.
Q2. 질문은 언제, 얼마나 자주 해야 하나요?
A2. 하루 한 번, 자기 전 루틴처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복이 아이의 사고 패턴을 바꿉니다.
Q3. 정서적으로 불안한 아이에게 어떤 질문이 효과적일까요?
A3. “오늘 나를 웃게 만든 순간은?”, “가장 기뻤던 기억은 뭐야?” 같은 긍정적 감정을 이끄는 질문이 효과적입니다.
Q4. 아이가 질문에 대답하지 않을 때는 어떻게 하나요?
A4. 기다려 주세요. 대답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신호를 주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반복되면 자연스럽게 마음을 엽니다.
결론 및 책 추천
행복하고 자존감 높은 아이로 키우는 것은 아주 작고 일상적인 질문에서 시작됩니다.
지금부터 아이에게 질문해 보세요. "오늘, 뭐가 가장 행복했어?" 그 한 마디가 아이의 미래를 바꿀 수 있습니다.
이정현 선생님의 교육 철학이 담긴 책과 인터뷰를 통해 행복한 육아, 따뜻한 관계 맺기를 시작해 보세요. 😊
"
스스로에게 "잘하고 있다", "애썼다", "수고했어", "괜찮아"라고 말해주고 스스로를 위로하고 공감해주는 연습을 많이 해야 해요. 스스로를 많이 안아주고 사랑하는 그 힘으로 우리 아이들을 더 많이 안아줄 수 있어요. 두 팔 벌려 남을 안는 것은 곧 나를 안는 일이라고 하죠. 우리 아이들이 더 크기 전에 많이 안아주고 사랑해주세요. 그리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있는 우리 자신도 더 많이 안아주고 사랑하면서 살아갔으면 좋겠어요.
"
'교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 디데이 계산기 2025 – 실시간 카운트다운 & 학습 전략 총정리 (4) | 2025.08.08 |
---|---|
중장년층도 가능한 나이 제한 없는 자격증 TOP 5 (1) | 2025.07.23 |
취업에 유리한 쉬운 자격증 BEST 5 (1) | 2025.07.22 |